정보

JSON이란 무엇인가?JSON이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로 데이터를 쉽게 교환하고 저장하기 위한 텍스트 기반의 데이터 교환 표준 방법입니다. KEY -Value로 이루어져 있습니다.Dart 데이터 통신에서의 직렬화-역직렬화에 대해 설명하시오.직렬화-역직렬화 과정은 데이터 형식을 전활하기 위한 과정으로 주로 Json 통신을 할 때 사용됩니다.직렬화는 dart에서 사용한 객체를 json 형식으로 바꾸는 과정을 의미합니다.역직렬화는 json 데이터를 dart에 사용할 수 있는 객체로 바꾸는 과정입니다.HTTP 의 특징과 문제점은 무엇인가?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입니다.요청-응답 구조로..


MermaidMermaid는 JavaScript기반의 다이어그램과 차트 작성을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차트를 넣을려면 이미지를 따로 만들고 수정하려면 새로 만들어야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그런데 Mermaid를 사용하면 Markdown 문서에서 텍스트를 이용해서 바로 시각적인 다이어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 장점간편한 문법 : 코드로 다이어그램을 만들 수 있어서, 복잡한 과정없이 생성 및 수정이 가능합니다.Markdown 통합: GitHub 등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어서 README파일이나 문서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다양한 다이어그램 지원 : 플로우차트, 시퀀스 다이어그램, 간트 차트 등 다양한 유형의 다이어그램을 지원합니다. 예시 `mermaidflowchart //mermaid에서 flo..

앱을 만들려고 오픈 API를 찾아보던 중에 JSON으로만 된 것만 쓰다가 XML로된 API를 쓸 일이 있어서 JSON 과 XML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JSON은 자바스크립드 객체를 표현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KEY : Value 로 이루어진 데이터 형식입니다. 키는 문자열로, 값은 문자열, 숫자, 불리언, 배열, 또는 다른 객체가 될 수 있습니다.예시{ "name": "Metallica", "albums": [ { "title": "Black Album", "releaseYear": 1991 }, { "title": "Load",..

모바일 빌드 포멧은 각 모바일 환경에 맞게 배포하기 위해서 변환하는 파일 형식입니다.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은 APK파일로 앱을 다운로드한 경험이 있을 수 있는데 APK가 바로 그 중 하나입니다. 각 형식은 안드로이드나 아이폰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배포를 생각한다면 알아두면 좋습니다. 1. APK(Android Package) apk는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android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파일 형식으로 android가 출시되면서 나온 방식입니다.특징apk에는 앱에 대한 모든 리소스가 포함되어있다.장점apk로 공식 스토어에서 제공하는 앱 외에서 apk파일만 있으면 앱을 쉽게 설치 할 수 있습니다.단점쉽게 설치할 수 있는만큼 외부에서 설치한 앱의 경우 보안을 보장할 수 없다 2. AAB(Android A..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JSON은 데이터의 형식이다. Key : Value의 형식으로 정의되어있으며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널리 사용된다. JSON 예시 코드{ "name": "홍길동", "age": 25, "isStudent": true, "hobbies": ["독서", "운동", "여행"], "address": { "city": "서울", "district": "강남구" }} JSON 사용방식json을 사용하는 방식은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직렬화(Serialization)직렬화는 데이터를 JSON형식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순서는 이러하다 : Dart 객체 -> Map -> Stringimport 'dart:convert';void En..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한 검증된 해결책이라고 합니다.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설계해놓은 방법들인것입니다. 디자인 패턴은 객체지향과 연관되어있습니다. 객체지향이란 코드를 객체 단위로 쪼개서 만들고 객체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방식입니다. 각 코드의 역할을 정하지 않아서 필요할때 조합할 수 있으며 오류가 생겼을때 수정이 이롭습니다. 이런 것처럼 디자인패턴도 일정한 역할을 나누어서 코드를 짜고 각 역할에 맞는 코드를 재활용하기도 합니다.장점은 크게 4가지입니다.코드 재사용성 향상: 검증된 솔루션을 활용하여 개발 시간 단축유지보수성 개선: 표준화된 접근 방식으로 코드 이해도 향상확장성 제공: 미래의 요구사항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

MacBook에서 git을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관리해본적이 있다. Xcode로 했었는데, 이때는 Xcode 안에 있는 기능을 이용해서 버튼을 클릭해서 push, pull, commit등의 기능을 사용했다. Xcode에서 git과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로그인만하고 쉽게 사용했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Flutter 프로젝트를 했기때문에 VSCode를 이용했고, Xcode와는 다르게 직접적으로 git과 연동해주는 기능은 없었다. 그래서 터미널을 이용해서 직접 연결을 해주어야했다. 기존에 사용했었기때문에 연동은 쉽게 했다. 그리고 git push, git pull, git commit은 기존에서 사용하던 용어이기에 쉽게 사용했다. 사용법 git 설치MacBook을 사용하면서 Xcode를 설치 할때 자동으..